List

2017/02/06

너무 비싼 올 뉴 크루즈...

 올 뉴 크루즈의 가격이 다소 비싸게 출시될 것 같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1,890만원이라는 시작 가격은 자동차의 상품성을 따지기 전에 가격에서부터 이미 답이 없다는 느낌이다.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과 엔진, 패밀리룩을 적용한 세련된 디자인, 강력한 경쟁 모델인 아반떼에 비해 95mm나 긴 차급을 달리하는 크기 등 크루즈 자체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을 수 있겠지만 이미 가격에서 마음이 멀어져버리면 그런 것들이 무슨 소용일까. 말리부에서 보여줬던 나름 센스있는 가격 책정(옵션을 넣으면 실제론 비싸지만)을 기대했지만 상당한 아쉬운 가격이다.    거기에 안전 사양까지 부실하다는 점은 치명적이다. 북미와 같은 10개의 에어백을 기대하진 않았지만 적어도 동급모델들과 같은 수준은 맞춰야 비교가 가능한데 가격은 더 비싸고 편의...

2014/09/15

2014 캐딜락 CTS 완벽에 가까워진 아메리칸 럭셔리

 풀 체인지된 캐딜락이 출시됐을 때 '그 돈이면 독일차를 사지'라며 평가 절하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는데 나는 그런 평이 맘에 들지 않았다. 모든 시장에서 특유의 쏠림 현상이 강한 우리나라답게 제일 좋은 차는 독일차고 미국차는 무조건 한수 아래로 보는 서열화가 일단 싫었고 범접하기 힘든 상품성과 고급화로 저 위로 올라간 것은 S 클래스지 E 클래스나 5 시리즈가 아니지 않은가.  저 강한 선들의 조화를 보라. 근육질의 강인한 형태를 표현하면서도 "Art and Science"로 명명된 디자인 기조를 1세대에 이어 여전히 잘 유지하고 있다. 더욱 잘 가다듬어 정리된 모습. 마초적 이미지와 아름다움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동시에 갖춘 디자인으로 독일차의 세련된 이미지와는 분명 차별화된 완성도 높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인정하지 않을 사람들이 상당수겠지만...

2014/09/12

연비 경쟁에 뒤처진 국산차 원인은 정부

 현재 국내 자동차 시장의 가장 큰 구매 조건은 연비다. 디자인이나 편의 사항 등 다른 조건들도 물론 많이 따지는 것이 국내 소비자들이지만 높아진 상태로 안정을 찾아버린 유가 때문에 효율이 높은 모델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올라가고 있다. BMW의 베스트셀러 520D는 말할 것도 없고 르노삼성의 QM3는 그런 시장 상황을 확실히 보여주는 모델 중 하나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자들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국내 업체들의 대다수 다른 차종들은 아직까지도 다운사이징과 변속기의 다단화 경쟁, 경량화를 미루고 있으며 오히려 신차가 연비가 더 떨어지는 기이한 모습도 보이고 있다. 외국 다른 브랜드들에선 보기 힘든 일이다.  왜 국산차들은 시장의 트렌드에 맞는 고효율 차종을 내놓는데 인색할까. 이유는 제조업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하나의 제품이 개발되고 생산되기...

2014/09/08

2015 캠리 렉서스를 닮은듯한 새로운 얼굴

 지금까지의 캠리는 날렵하지도 못생긴 것도 아닌 말 그대로 무난한 디자인의 모델이었다. 성능 역시 특출난 부분은 없고 시장에 나와있는 동급 차종의 평균 수준으로 만들어진 토요타 차 만들기의 전형을 보여준 대표적인 모델이었다.  좋게 표현하면 대중적이고 나쁘게 말하면 개성없는 심심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드라이빙의 재미보다 운송수단의 역할이 강조된 일반적인 패밀리 세단이란 점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캠리는 북미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중형 세단인 만큼 누구에게나 선택받을 수 있는 토요타의 80점주의가 가장 잘 어울리는 차종이다.  그런 캠리조차도 2015년형에 와서는 차급, 컨셉과는 관계없이 스포티함을 강조하는 시대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었는지 다소 강렬한 인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모범생...